민주노동 연구소
노동운동자료실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 노동운동자료실입니다.
민주노동연구소의 회원들이 자료를 서로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미국 노동운동의 위기와 채택되지 않은 노선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엘리 리어리 작성일05-11-30 00:00 조회65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미국 노동운동의 위기와 채택되지 않은 노선들
             
                                                                                글쓴이 엘리 리어리(Elly Leary)


출처 : 먼슬리 리뷰
번역: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정세와 노동> 2005년 08월호
[편집자 주: 지난 호에 이어서 Monthly Review, Vol. 57 No. 2 (2005년 6월)에서 Elly Leary의 \"Crisis in the U.S. Labor Movement: The Roads Not Taken\"을 번역하여 싣는다. 이 글은 미국 노동운동의 뿌리 깊은 경제주의, 반공주의, 노자협조주의, 백인패권주의, 가부장제 등을 뼈아프게 지적하면서 혁명적 노동운동의 재생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노동자계급과 그 동맹자들(자본주의에 의해서 억압 받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요즈음이 견디기 힘든 시대라고 하는 데에는 어떤 논란도 없다. 노동자계급은 정당을 못 가지고 있고, 불가피한 어려움이 닥칠 때 우리를 도울 사회복지사업은 쇠퇴했으며, 우리의 극소수 귀중한 조직들조차, 특히 노동조합들조차 무자비한 공격에 완전히 찌부러진 것 같다.

다음 두세 가지 사실을 생각해 보자. 5달러 15센트라는 연방최저임금은 7년 동안이나 변함이 없어서 이제는 빈곤선(貧困線)의 61%에 불과하다. 4천5백만 명이 건강보험이 없으며, 그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보험료가 33%, 현금지불이 49%나 올라서, 대부분 임금 인상분 이상을 집어 삼키고 있다. 31개의 \'적색 주들\'(red states, 2004년 대선에서 조지 부시를 지지했던 주들) 가운데 22개 주가 유니온샵(union shop) 금지법을 가지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 제조업의 일자리가 12% 줄어들었는데, 그러나 같은 기간에 제조업의 노동조합원 수는 66%나 줄어들었다. 노동조합 조직률은 겨우 13%다. 사기업 부문에서의 조직률은 으레 최악의 상태로 간주되었던 1920년대보다도 낮다.

무엇을 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논쟁이 들끓고 있지만,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어떻게 해서 이 지경에까지 이르렀는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엘라 베이커(Ella Baker)가 설득력 있게 표현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리가 어디에 있었는가를 기억해야 할 뿐 아니라 어디에 있었는지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나는 말하고 있는 것이고, 당신들 역시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많은 노동운동 분석가들이 위기의 시작을 1970년대 초로 잡고 있다. 베트남 전쟁 후에 정말로 매사가 깨져나가기 시작했다. 그때가 바로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합의\'(consensus)가 해체되었던 때다. 그러한 합의의 중심에는, 노동자계급이 만일 냉전 제국 건설(冷戰帝國建設) 사업에 협조한다면, 자본가들은 공격하지 않겠다는 묵계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합의는 비(非)백인노동자들에게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1970년대가 되자, 제2차 대전 후에 누구보다도 많은 소득을 올리던 백인노동자들의 삶이 공격을 받았다. 단지 유색인종들, 특히 제조업에서 일하고 노조에 속해 있던 아프리카계의 흑인들만이 그 합의에서 득을 보았다.

그러나 위기가 그 합의의 붕괴에 있다고 보는 것은 역사를 오도하는 것이고, 너무나 극단적으로 단순화한 것일 것이다. 노동자계급이 위기에 처했던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위기와 곤란에 처했을 때에는 언제나 노동운동은 무엇을 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했다. 이들 서로 다른 선택들이, 더 중요하게는 선택하지 않은 노선들이, 어떻게 오늘날 우리를 여기에 이르게 했는가를 나는 지적하고자 한다. 이들 선택은 세 개의 중대하고 상호 연관된 문제들과 관련되어 있다. 논의를 위해서 그것들을 분리하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각각의 문제가 다른 것과 긴밀히 연관되어 상호 작용을 하고 있고, 그 때문에 그 결과는 단순히 그 부분들의 합(合)과는 다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