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별노조와 노동자 정치세력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창우 작성일99-11-30 00:00 조회742회 댓글0건첨부파일
-
단일노조론1999.1.hwp (39.0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7-04 11:03:09
본문
산별노조와 노동자 정치세력화
- 김 창 우(1999. 1월 작성) -
1.산별노조에 대하여
1) 독일 산별노조의 과거
2) 독일산별노조의 현재
3) 산업분류에 따른 조직형태의 문제점
4) 자본의 형태에 조응한 조직형태인가?
5) 조직 주체의 변화에 따른 조직형태인가 ?
6) 조직은 투쟁을 통해서 건설된다.
7) 향후 조직발전 방향은 어떻게 될 것인가
8) 이론은 회색이요, 푸르른 것은 저 영원한 생명의 나무다.
2.정치세력화에 대하여
1)노동자 계급의 해방은 노동자 계급 자신에 의해 이룩되어야 한다.
2) 정치와 경제를 분리하는 논리는 노동자 계급의 자기해방의 관점에서 볼 때 노동자들이 스스로 사회를 변화시켜 갈 수 있는 의식과 투쟁역량을 분리시킴으로써(정치와 경제로) 영원히 자본가에 종속시켜 노동자 해방의 길로 갈 수 없도록 하게 하는 가장 전형적인 부르조아 이데올로기이다.
3) 따라서 노동자계급 스스로를 해방시켜 갈 수 있는 역량(의식,투쟁,조직)에 기초하지 않는 모든 조직 - 그것이 노동조합이든 정당이든 -은 결국 자본에 종속될 수밖에 없고 자본으로부터 무시당할 수밖에 없다.
4) 정치세력화의 목표는 국가기구(권력)를 장악하는 것이 아니다. 국가기구(권력)를 파괴하고 대중(민중)권력을 건설하는 것이다.
3. 내부 민주주의,관료화에 대하여
- 김 창 우(1999. 1월 작성) -
1.산별노조에 대하여
1) 독일 산별노조의 과거
2) 독일산별노조의 현재
3) 산업분류에 따른 조직형태의 문제점
4) 자본의 형태에 조응한 조직형태인가?
5) 조직 주체의 변화에 따른 조직형태인가 ?
6) 조직은 투쟁을 통해서 건설된다.
7) 향후 조직발전 방향은 어떻게 될 것인가
8) 이론은 회색이요, 푸르른 것은 저 영원한 생명의 나무다.
2.정치세력화에 대하여
1)노동자 계급의 해방은 노동자 계급 자신에 의해 이룩되어야 한다.
2) 정치와 경제를 분리하는 논리는 노동자 계급의 자기해방의 관점에서 볼 때 노동자들이 스스로 사회를 변화시켜 갈 수 있는 의식과 투쟁역량을 분리시킴으로써(정치와 경제로) 영원히 자본가에 종속시켜 노동자 해방의 길로 갈 수 없도록 하게 하는 가장 전형적인 부르조아 이데올로기이다.
3) 따라서 노동자계급 스스로를 해방시켜 갈 수 있는 역량(의식,투쟁,조직)에 기초하지 않는 모든 조직 - 그것이 노동조합이든 정당이든 -은 결국 자본에 종속될 수밖에 없고 자본으로부터 무시당할 수밖에 없다.
4) 정치세력화의 목표는 국가기구(권력)를 장악하는 것이 아니다. 국가기구(권력)를 파괴하고 대중(민중)권력을 건설하는 것이다.
3. 내부 민주주의,관료화에 대하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