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 연구소
정치/경제자료실
전태일을 따르는 민주노동연구소 정치/경제자료실입니다.
민주노동연구소의 회원들이 자료를 서로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빅 브랜드와 한국기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애화 작성일02-11-30 00:00 조회689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불공정한 국제적인 생산체인망, 그 중심에 한국기업이 있다
나이키는 기업책임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이 순이익을 발표한 적이 있다. “나이키 스니커 한 켤레 80달러에 대한 나이키 순이익은 2.5달러, 판매자 순이익은 2.0달러, 생산자 순이익은 1달러이다.” 나이키 스스로 발표한 것을 보더라도, 브랜드 장사를 하고 있는 나이키는 생산자의 2.5배의 순이익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불공정은 단순히 이익의 분배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이 외에도 무리한 생산일정, 일방적인 선적 일정, 상품 모델의 수시 변경 등은 한국기업과 같은 하청업체가 감당해야 할 또 하나의 몫이다. 결국 나이키 구입업자의 일방적인 결정에 따라야 하는 것이다. 구입업자와 공급업자(생산업자)의 이러한 불공정한 거래는 곧바로 노동자에게 전가되어 저임금․장시간 노동에 유해한 작업환경에서 노동하게 만들고 있다. 나이키는 근본적으로 생산현장에 대한 책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생산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러한 논란에서 책임을 면하려 하고 있다.

아디다스의 전체 생산공장 중 2/3가 아시아에 위치해 있다. 나이키도 전 생산량의 4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지의 아시아 집중의 원인은 자본의 저임금 노동, 아시아 여성노동자들의 순종성에 대한 선호뿐만 아니라 공급업자의 특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 공급업자들이 대부분 대만, 홍콩, 한국 자본가들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모국에서 80년대 말까지 대부분 노동집약적인 제화산업, 의류산업 생산을 담당했었다.
그러나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적극적인 시장개방과 외국투자유치 경쟁, 국내 노동자들과 해외 노동자들의 임금 격차 증가로 인해 해외진출이 본격화되었다. 이들은 우선 재료 공급, 관리 등의 편의를 위하여 자본의 모국과 거리가 가까운 아시아를 선호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 개방과 대만, 홍콩 등의 중국인 자본의 결합은 아시아가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근거지가 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아시아 정부들의 적극적인 유치정책과 아시아문화권이란 친밀성, 거리의 근접성 등에 의해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 투자하고 있다. 아시아 저개발국 봉제산업의 경우는 한국기업의 수가 다른 투자국에 비해 가장 많다.

한국자본의 해외진출, 아시아의 생산지 화는 그 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각종 노사분규를 동반하고 있으며, 악덕기업으로서 한국기업의 이미지도 같이 상승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 각 국의 해외투자 기업 노사분규 상황을 보면, 한국기업이 가장 두드러진 것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노사분규 통계에서도 한국기업의 노사분규가 제일 높다. 그리고 한국기업에 대한 이미지는 아시아에서만이 아니라 남미의 산업도시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남미에서는 외국인 기업 중 가장 입사하기 싫은 기업으로 한국기업이 꼽히고 있다.
이러한 한국기업 기피는 한국이 해외 진출한 이래 계속되고 있다. 아시아에서 가장 순종적이라고 할 수 있는 베트남 노동자들의 분규 중에서도 한국기업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치민시의 경우 1990-1996년 일어난 36건의 파업 중에서 한국기업에서 19건이 일어났다.
한국기업에 대한 이러한 나쁜 이미지는 노동자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한국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하고 있는 중국 청도에서 내가 만난 일반 중국인들조차 반한국 감정이 심해서 섬뜩한 느낌마저 들었다. 한 사람은 “10년 후에 보자. 한국보다 우리는 발전할 것이고... 한국에 우리도 투자할 것이다”며 자신감과 보복심이 깔린 감정을 표현했다. 마치 한국에서의 반일감정을 떠올리게 했다. 그들은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한국인이 악질적이고 냉정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각종 노동인권단체의 사이트에서도 한국기업에 대한 고발은 단골메뉴가 되어 있다.
예를 들어 WRC(workers rights consortium)라는 단체에서 3개의 업체에 대해 조사, 발표했는데, 이 3개 중 2개가 유감스럽게도 한국기업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