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12-26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전태일노동연구소 작성일00-11-30 00:00 조회612회 댓글0건첨부파일
-
Jb71226.hwp (170.6K) 0회 다운로드 DATE : 2018-06-12 11:38:10
본문
■ 정세초점
김대중 예비정권의 등장과 노동자계급의 태도
< 차 례 >
1. 들어가면서
2. 김대중 정권의 등장이 가지는 의미
: 소부르조아 급진주의 민중운동의 정통성 확보(회복)
(1) 15대 대선은 절차적인 민주주의를 완성한 것이 아니라
부르조아 민주주의의 제한적인 실시로써 노동자계급의 진출에
효과적으로 방파제를 쌓은 것이다.
(2) 김대중 정권은 신 보수주의로 개종한 소부르조아 급진주의
정권이다. : 이로써 소부르조아 급진주의 민족민주운동은 사후적으로 정치적 정통성을 확보했다!
(3) 김대중 정권은 노동자의 벗이고 민중의 전진에 있어서
디딤돌인가 아니면 신제국주의의 포로이고 민주변혁에 대한
방파제인가?
3. 김대중 정권의 노선과 정책
(1) 그의 민주주의는 신자유주의가 접목된 저강도
권위주의이다!
(2) “경제 개발”은 신자유주의 식민지 경제에서의 자본축적
활성화 노선이다.
4. 김대중 정권에 대한 노동자 계급의 태도
(1) 김대중 정권의 성격과 그 등장의 의의
(2) 확고하게 주체적 입장으로! 그리고 철저하게
과학적 인식에 근거해서! 그리고 인간해방을 향하여!
◉ 최근 상황과 관련한 보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