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정세(각국의 계급투쟁과 국제정치) | 남 예멘의 계급 투쟁
페이지 정보
작성자 프레데릭 오스텐 작성일10-01-31 00:00 조회3,722회 댓글0건본문
<STYLE> P.HStyle0, LI.HStyle0, DIV.HStyle0 {style-name:\"바탕글\"; margin-left: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1, LI.HStyle1, DIV.HStyle1 {style-name:\"본문\"; margin-left:15.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2, LI.HStyle2, DIV.HStyle2 {style-name:\"개요 1\"; margin-left:1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3, LI.HStyle3, DIV.HStyle3 {style-name:\"개요 2\"; margin-left:2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4, LI.HStyle4, DIV.HStyle4 {style-name:\"개요 3\"; margin-left:3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5, LI.HStyle5, DIV.HStyle5 {style-name:\"개요 4\"; margin-left:4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6, LI.HStyle6, DIV.HStyle6 {style-name:\"개요 5\"; margin-left:5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7, LI.HStyle7, DIV.HStyle7 {style-name:\"개요 6\"; margin-left:6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8, LI.HStyle8, DIV.HStyle8 {style-name:\"개요 7\"; margin-left:7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9, LI.HStyle9, DIV.HStyle9 {style-name:\"쪽 번호\"; margin-left: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10.0pt; font-family:굴림;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10, LI.HStyle10, DIV.HStyle10 {style-name:\"머리말\"; margin-left: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50%; font-size:9.0pt; font-family:굴림; letter-spacing:0.0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11, LI.HStyle11, DIV.HStyle11 {style-name:\"각주\"; margin-left:13.1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13.1pt; line-height:130%; font-size:9.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5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12, LI.HStyle12, DIV.HStyle12 {style-name:\"미주\"; margin-left:13.1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13.1pt; line-height:130%; font-size:9.0pt; font-family:바탕; letter-spacing:0.5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P.HStyle13, LI.HStyle13, DIV.HStyle13 {style-name:\"메모\"; margin-left:0.0pt; margin-right:0.0pt; margin-top:0.0pt; margin-bottom:0.0pt; text-align:justify; text-indent:0.0pt; line-height:160%; font-size:9.0pt; font-family:굴림; letter-spacing:0.5pt;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color:#000000;} </STYLE>
<FONT style=\"LINE-HEIGHT: 150%\">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size=3> </FONT><STRONG><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4>남(南)예멘의 계급투쟁</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STRONG></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TEXT-ALIGN: right\"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In defence of Marxism> 2010. 1. 12일 게재</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TEXT-ALIGN: right\"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프레데릭 오스텐(Frederick Ohsten)</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TEXT-ALIGN: right\"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편집자의 말> 지난 연말에 예멘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알 카에다 소탕작전’을 명목으로 알 카에다 기지에 대한 공습을 단행했다. 그런데 알 카에다에 대한 이렇듯 소란스런 선전 때문에, 실상은 예멘의 사회변화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남부 운동’으로 구체화된 대중적 반정부운동의 존재가 까맣게 잊혀지고 있다. 남예멘에 알 카에다 세력이 얼마나 있는지, 정확한 자료도 없고(200명설부터 2000명설까지), 무엇보다 이들은 최근까지 예멘 정부와 별달리 적대관계가 아니었다. 미국과 예멘 정권은 알 카에다 세력을 타격한다고 공언하면서, 한편으로는 ‘대중적 반정부운동 = 알 카에다 세력’의 이미지를 덧씌워서 민중저항을 압살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예멘 정권은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정권이다. 그래서 예멘 내 이슬람 소수파이고 알 카에다와 무관한 북서부의 후티족의 저항에 대해서도 ‘이란 배후설’을 제기하여 사우디아라비아의 공습을 정당화하고 있다. 진정한 대립구도는 ‘알 카에다 대 예멘/미국 정부’ 또는 ‘이란 대 예멘 정부’가 아니라, ‘예멘(+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지배세력 대 예멘의 민중 저항’이다. 아래에 옮기는 글은 이 후자의 구체적 양상을 밝혀주고 있다. 아래의 글은 다루고 있지 않지만, 예멘은 소말리아와 서로 건너다보이는 ‘해역(海域)’이 국제 석유수송로로서 요충지일뿐 아니라, 남부의 마실라 샤뱌(Masila-Shabwa) 지방에 막대한 석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도 제국주의 세력이 그 통제권을 놓으려 하지 않을 지역이다.</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요즘 서방 주류 언론에는 예멘에 관한 보도가 많이 올라 왔다. 이들 보도의 대부분은 예멘 내부의 절망적인 상황에 관해서는 전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예멘의 계급투쟁과 혁명적 전통에 관해서도 말하지 않는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1월 10일, 총파업이 남부의 다알(Dhale), 라하즈(Lahaj), 샤뱌(Shabwa), 아비얀(Abyan) 주(州)를 마비시켰다. 가게가 다 문을 닫았고, 파업이 벌어진 6시간 동안 교통이 멈췄다. 이 파업은 수도 사나(Sana\'a)의 중앙 정부가 저지른 탄압에 대한 항의로 ‘남부 운동’이 요청한 것이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이 투쟁은 남부의 시위대들이 잔인한 탄압을 받은 일련의 사건들 뒤에 일어났다. 이를테면, 11월 25일 보안군은 아타크 시에서 반대파 항의자 5명에게 총을 쐈다. 정부의 이른바 ‘테러와의 전쟁’은 가난한 민중에게는 악몽이 될 뿐이다. 12월 20일, 군대가 아비얀 주의 남동 지역을 공습했을 때처럼!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인 시민 49명이 공습으로 죽었다고 한 지방 관리가 밝혔다. 공습이 계속되었는데, 서방에서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남부에서는 2009년 4월에 예정된 의회선거가 2년간 연기된 이래로 쿠데타가 예상될 만큼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남예멘의 운동</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의 ‘남부 운동’, 혹은 알-하라카트 알-자누비야(al-harakat al-janubiyya)는 그 뿌리가 남예멘과 북예멘 간의 1994년 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남부의 다양한 반정부운동 분파들을 포괄하는 상부기구다. 1990년 5월 반동적인 북부 예멘아랍공화국(YAR)과 ‘맑스주의의’(실제로는 스탈린주의의) 남부 예멘인민공화국(PDRY)의 통합에 따라 새 중앙정부가 북부의 옛 수도, ‘사나’에 자리를 잡았다. 전(前) 북부의 대통령 알리 압둘라 살레가 새 예멘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IMG height=167 src=\"http://www.junnodae.org/data/files/data1/1/bbs/2/201002/394_edu_0219155922574.jpg\" width=167 align=middle border=0><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인민공화국(PDRY)의 옛 프롤레타리아 보나파르트주의(스탈린주의) 국가는, 소련이 1989년에 지지를 철회하고 북부의 반동적인 부족 국가와 ‘통합’한 뒤에 무너졌다. 실제로는 북예멘이 남부 지역을 합병한 셈이다. 승리자는 농업을 비롯해 사회 모든 영역에서 반(反)혁명 조치를 단행했다. 북예멘은 남부의 국유화된 토지를 인수하여 지주와 술탄[지방 통치자: 역자]에게 나눠 주었다. 혁명 후에 뒤로 물러났던 부족(部族)제도가 강력하게 재등장했다. 마치 시계 바늘이 수 세기 전으로 돌아간 것처럼. 이 과정에서 반동적인 북부 정권은 미 제국주의와 중동지역의 다른 반동 정권들의 지원을 받아, 남부의 옛 계획경제의 사회적 성과를 파괴할 도구로서 음험한 근본주의 세력들을 활개치게 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SPAN> 1993년에 치러진 선거가 남북 분열을 재강화했다. 북부의 유권자들은 이슬람주의 정당 이슬라(Islah), 그리고 살레 대통령의 일반인민의회당(GPC)에 투표했다. 남부 유권자들은 예멘사회주의당(YSP) 후보들을 선출했다. 1994년 4~6월, 북-남 내전이 남부의 패배로 끝났다. ‘사회주의’ 남부와 싸우기 위해 북부는 지하디스(Jihadis)<A href=\"#FOOTNOTE1\"><SUP>1)</SUP></A>를 징집했다. 전쟁 이후 예멘 정권은 국가기구를 숙청하고 남부 사람들을 북부 사람들로 대체했다. 남부로부터의 석유 세입은 북부의 몇몇 소수의 호주머니에 들어갔다.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지금 벌어지는 남예멘의 반정부운동의 기원은 강압에 의해 은퇴한, 복직과 연금 인상을 요구하는 남부의 군 장교들의 조직에 의해 조직된 일련의 소규모 항의들이었다. 이들 옛 장교들은 ‘퇴직군장교협회’를 결성하고 일련의 연좌 및 항의시위를 시작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SPAN> 항의시위는 변호사들, 학자들, 학생들, 언론인들, 그리고 남부의 보통시민들로 확산되었다. 곧, 예멘사회주의당(YSP)이 주도했지만, 나세르주의자<A href=\"#FOOTNOTE2\"><SUP>2)</SUP></A>, 바트당<A href=\"#FOOTNOTE3\"><SUP>3)</SUP></A>을 포함한 정당들의 남부 지부 대부분은 그들의 풀뿌리 네트워크를 이 운동의 지지에 동원했다.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그 뒤로 ‘남부 운동’은 더욱 조직화되었다. 2009년 여름, 중앙지도기구로 ‘남부 평화혁명 지도평의회’가 결성되었다. 이 기구는 퇴직군장교협회 지도부, 살레 대통령과 제휴했던 몇몇 부족 지도자들, 그리고 예멘사회주의당(YSP)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인민공화국(PDRY)의 유산</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1967년, 영국 식민지 아덴(Aden)에서 혁명적 파고가 일어나, 영국 제국주의의 철수를 강요했다. 혁명이 일어나자 민족전선 내에서 부르주아지와 쁘띠 부르주아지 민주주의자들이 지주(地主)제도를 혁파하고 대중의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데 무능하다는 것이 곧 분명하게 드러났다. 민족전선의 가장 혁명적인 분파가 전면에 나서지 않을 수 없었고, 그들이 1969년에 권력을 장악했다.</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IMG height=83 src=\"http://www.junnodae.org/data/files/data1/1/bbs/2/201002/394_edu_0219155922688.jpg\" width=125 align=middle border=0></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그러나 그들이 봉건제와 지주제도를 혁파하려면, 그들은 더욱 전진하여 자본주의(또는 오히려 그 당시 남예멘에 존재했던 자본주의 요소들)를 제거해야만 했다. 1970년, 남예멘은 자신을 ‘맑스주의’ 국가라고 선언했다. 실제로 남예멘은 국유화된 경제에 기초한 군-경찰 독재였지만, 압도적인 다수, 특히 열성적인 국민의 지지를 받았다. 예멘 혁명가들은 쿠바와 중국 혁명, 그리고 스탈린주의 러시아 체제를 그들의 모델로 삼았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비록 남예멘이 세계의 최빈국의 하나였지만(지금도 마찬가지), 지주제도와 자본주의(또는 오히려 남예멘에 존재했던 자본주의 요소들)의 제거는 몇몇 진보를 낳았다. 국가의 기반시설이 크게 향상되었다. 무상교육이 실시되고, 완전고용이 이뤄졌다. 이 시기는 동독인들에게 독일민주공화국 시기의 복지제도와 계획경제의 기억과 같은 의미에서, 남예멘 대중의 의식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1980년대 남예멘의 경제는 (1980년대 후반 석유 발견이 다소 돕기는 했어도) 위기와 스태그네이션에 빠져들었다. 자원이 희소한 후진국에서 혁명의 고립과 결합된, 관료적 부실경영은 더 이상의 발전에 대해 절대적인 족쇄가 되었다. 농민들은 헐값을 받고서 농작물을 인도하기를 거부했다. 아덴(Aden)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농산물은 종종 감자, 빵, 양파뿐이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남예멘의 지도자들이 ‘통합’을 통해 북부와 타협하도록 이끈 것은 바로 이와 같은 곤경이었다. 실제로 이것은 스탈린주의자들의 완전한 파산을 보여주었다. 예멘인민공화국(PDRY)에서 실패한 것은 맑스주의나 사회주의가 아니라, 스탈린주의―즉 ‘1국 사회주의’와 노동자· 농민을 위한 민주주의가 결여된 관료적 경찰-군 통치였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경제</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의 석유 부문은 수출 소득의 90%, 정부 세입의 75%를 제공한다. 그러나 예멘의 석유 생산은 정점을 지났고, 1일 생산량이 2002년에 46만 배럴에서 2010년 예측치 26.8만 배럴로 하락했다. 총 원유 수출은 2008년에는 세계 유가의 급등을 반영하여 76억 달러였지만, 2009년의 숫자는 28억 달러에 가까울 것이다. 세계은행은 석유 판매로 얻은 국가 수입이 2017년에는 ‘제로’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통일 이후의 예멘의 IMF ‘개혁’은 대중에게 재앙인 것으로 드러났다. 완전고용 대신에 예멘은 지금 실업인구가 40%인 것으로 추정된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IMF 개혁조치 중에는 연료보조금의 75% 삭감, 대중의 생활수준에 대한 또다른 공격들뿐 아니라 대중의 구매력을 줄인 ‘일반 판매세’도 있다. 대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정부가 그 모든 공격을 다 단행할 수는 없다 해도, 생활수준은 항상적 공격 하에 놓여 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은 국토의 태반이 사막인 지형 때문에, 고립되어 있는 한, 그리고 대내적으로 봉건적 관계와 취약하고 자본집약도가 낮은 생산부문에 의해, 대외적으로 세계 제국주의 및 사우디아라비아나 걸프만 국가들 같은 지역의 반동적인 국가들에 의해 지배되는 한, 나라를 발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혁명적 출구</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SPAN> ‘남부 운동’은 남예멘에 깊이 뿌리내린 불만을 반영한다. 동시에, 부족의 지하드(성전聖戰) 전사들(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과 싸웠고, 나중에 ‘사회주의’ 예멘인민공화국과 싸웠던 전(前)-무자히딘<A href=\"#FOOTNOTE4\"><SUP>4)</SUP></A>)과 정부 세력 간의 싸움뿐 아니라, 북서부 후티족의 반란도, 예멘 정권이 좌익을 분쇄하기 위해 의존했던 바로 그 사회 세력들과 갈등관계에 돌입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것은 지금의 봉건적-제국주의적 질서 하에서 경제가 완전히 곤경에 처했음을 말해주는, 체제 해체의 반영이다.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남부 운동’은 극히 이질적인 세력으로 구성돼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국민의 열성층이 더 나은 조건을 위해 싸우고 있는, 진정한 대중운동이다. 필요한 것은 지주제도와 자본주의를 타파하고 예멘 전체로 혁명을 확산하는 것이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맑스주의자들은 예멘 정부와 지주들이 저지르는 억압과 도둑질에 맞서는 투쟁을 지지한다. 하지만 그 투쟁은 사회주의 노선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중앙 정부에 맞서는 투쟁은 경제의 재국유화 요구에 기초해야 하지만, 그것은 또한 북예멘,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및 지역의 나머지 나라들로 혁명을 확산하도록 해야 한다. 나라 전체, 즉 북부와 남부를 포괄하는 사회주의 남예멘은 그 지역 전체의 사회주의 혁명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끝></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원문 출처: </FONT></FONT><A href=\"http://www.marxist.com/class-struggles-south-yemen.htm\" target=_blank><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color=purple>http://www.marxist.com/class-struggles-south-yemen.htm</FONT></FONT></A></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 </P>
<HR align=left width=300>
<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1>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1) </SPAN><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역자] 급진적 이슬람 분파. ‘성전(聖戰)’의 전사(戰士)들이라 불림. </FONT></P></A></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2><BR></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2>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2) </SPAN><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역자] 전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의 아랍 민족주의 사상을 이어받은 그룹.</FONT> </P></A></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2><BR></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3>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3) <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역자] 범아랍 민족주의와 아랍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1940년 시리아에서 결성되었다. </FONT></P></A></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2><BR></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4>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4)</SPAN><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역자] 성전(지하드)을 수행하는 이슬람 전사라는 뜻. 소련군에 맞선 아프가니스탄 전사들을 가리킴. </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P></A></FONT><BR></FONT>
<FONT style=\"LINE-HEIGHT: 150%\">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size=3> </FONT><STRONG><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4>남(南)예멘의 계급투쟁</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STRONG></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TEXT-ALIGN: right\"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In defence of Marxism> 2010. 1. 12일 게재</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TEXT-ALIGN: right\"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프레데릭 오스텐(Frederick Ohsten)</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TEXT-ALIGN: right\"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편집자의 말> 지난 연말에 예멘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알 카에다 소탕작전’을 명목으로 알 카에다 기지에 대한 공습을 단행했다. 그런데 알 카에다에 대한 이렇듯 소란스런 선전 때문에, 실상은 예멘의 사회변화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남부 운동’으로 구체화된 대중적 반정부운동의 존재가 까맣게 잊혀지고 있다. 남예멘에 알 카에다 세력이 얼마나 있는지, 정확한 자료도 없고(200명설부터 2000명설까지), 무엇보다 이들은 최근까지 예멘 정부와 별달리 적대관계가 아니었다. 미국과 예멘 정권은 알 카에다 세력을 타격한다고 공언하면서, 한편으로는 ‘대중적 반정부운동 = 알 카에다 세력’의 이미지를 덧씌워서 민중저항을 압살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예멘 정권은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정권이다. 그래서 예멘 내 이슬람 소수파이고 알 카에다와 무관한 북서부의 후티족의 저항에 대해서도 ‘이란 배후설’을 제기하여 사우디아라비아의 공습을 정당화하고 있다. 진정한 대립구도는 ‘알 카에다 대 예멘/미국 정부’ 또는 ‘이란 대 예멘 정부’가 아니라, ‘예멘(+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지배세력 대 예멘의 민중 저항’이다. 아래에 옮기는 글은 이 후자의 구체적 양상을 밝혀주고 있다. 아래의 글은 다루고 있지 않지만, 예멘은 소말리아와 서로 건너다보이는 ‘해역(海域)’이 국제 석유수송로로서 요충지일뿐 아니라, 남부의 마실라 샤뱌(Masila-Shabwa) 지방에 막대한 석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도 제국주의 세력이 그 통제권을 놓으려 하지 않을 지역이다.</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요즘 서방 주류 언론에는 예멘에 관한 보도가 많이 올라 왔다. 이들 보도의 대부분은 예멘 내부의 절망적인 상황에 관해서는 전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예멘의 계급투쟁과 혁명적 전통에 관해서도 말하지 않는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1월 10일, 총파업이 남부의 다알(Dhale), 라하즈(Lahaj), 샤뱌(Shabwa), 아비얀(Abyan) 주(州)를 마비시켰다. 가게가 다 문을 닫았고, 파업이 벌어진 6시간 동안 교통이 멈췄다. 이 파업은 수도 사나(Sana\'a)의 중앙 정부가 저지른 탄압에 대한 항의로 ‘남부 운동’이 요청한 것이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이 투쟁은 남부의 시위대들이 잔인한 탄압을 받은 일련의 사건들 뒤에 일어났다. 이를테면, 11월 25일 보안군은 아타크 시에서 반대파 항의자 5명에게 총을 쐈다. 정부의 이른바 ‘테러와의 전쟁’은 가난한 민중에게는 악몽이 될 뿐이다. 12월 20일, 군대가 아비얀 주의 남동 지역을 공습했을 때처럼!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인 시민 49명이 공습으로 죽었다고 한 지방 관리가 밝혔다. 공습이 계속되었는데, 서방에서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남부에서는 2009년 4월에 예정된 의회선거가 2년간 연기된 이래로 쿠데타가 예상될 만큼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남예멘의 운동</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의 ‘남부 운동’, 혹은 알-하라카트 알-자누비야(al-harakat al-janubiyya)는 그 뿌리가 남예멘과 북예멘 간의 1994년 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남부의 다양한 반정부운동 분파들을 포괄하는 상부기구다. 1990년 5월 반동적인 북부 예멘아랍공화국(YAR)과 ‘맑스주의의’(실제로는 스탈린주의의) 남부 예멘인민공화국(PDRY)의 통합에 따라 새 중앙정부가 북부의 옛 수도, ‘사나’에 자리를 잡았다. 전(前) 북부의 대통령 알리 압둘라 살레가 새 예멘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IMG height=167 src=\"http://www.junnodae.org/data/files/data1/1/bbs/2/201002/394_edu_0219155922574.jpg\" width=167 align=middle border=0><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인민공화국(PDRY)의 옛 프롤레타리아 보나파르트주의(스탈린주의) 국가는, 소련이 1989년에 지지를 철회하고 북부의 반동적인 부족 국가와 ‘통합’한 뒤에 무너졌다. 실제로는 북예멘이 남부 지역을 합병한 셈이다. 승리자는 농업을 비롯해 사회 모든 영역에서 반(反)혁명 조치를 단행했다. 북예멘은 남부의 국유화된 토지를 인수하여 지주와 술탄[지방 통치자: 역자]에게 나눠 주었다. 혁명 후에 뒤로 물러났던 부족(部族)제도가 강력하게 재등장했다. 마치 시계 바늘이 수 세기 전으로 돌아간 것처럼. 이 과정에서 반동적인 북부 정권은 미 제국주의와 중동지역의 다른 반동 정권들의 지원을 받아, 남부의 옛 계획경제의 사회적 성과를 파괴할 도구로서 음험한 근본주의 세력들을 활개치게 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SPAN> 1993년에 치러진 선거가 남북 분열을 재강화했다. 북부의 유권자들은 이슬람주의 정당 이슬라(Islah), 그리고 살레 대통령의 일반인민의회당(GPC)에 투표했다. 남부 유권자들은 예멘사회주의당(YSP) 후보들을 선출했다. 1994년 4~6월, 북-남 내전이 남부의 패배로 끝났다. ‘사회주의’ 남부와 싸우기 위해 북부는 지하디스(Jihadis)<A href=\"#FOOTNOTE1\"><SUP>1)</SUP></A>를 징집했다. 전쟁 이후 예멘 정권은 국가기구를 숙청하고 남부 사람들을 북부 사람들로 대체했다. 남부로부터의 석유 세입은 북부의 몇몇 소수의 호주머니에 들어갔다.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지금 벌어지는 남예멘의 반정부운동의 기원은 강압에 의해 은퇴한, 복직과 연금 인상을 요구하는 남부의 군 장교들의 조직에 의해 조직된 일련의 소규모 항의들이었다. 이들 옛 장교들은 ‘퇴직군장교협회’를 결성하고 일련의 연좌 및 항의시위를 시작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SPAN> 항의시위는 변호사들, 학자들, 학생들, 언론인들, 그리고 남부의 보통시민들로 확산되었다. 곧, 예멘사회주의당(YSP)이 주도했지만, 나세르주의자<A href=\"#FOOTNOTE2\"><SUP>2)</SUP></A>, 바트당<A href=\"#FOOTNOTE3\"><SUP>3)</SUP></A>을 포함한 정당들의 남부 지부 대부분은 그들의 풀뿌리 네트워크를 이 운동의 지지에 동원했다.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그 뒤로 ‘남부 운동’은 더욱 조직화되었다. 2009년 여름, 중앙지도기구로 ‘남부 평화혁명 지도평의회’가 결성되었다. 이 기구는 퇴직군장교협회 지도부, 살레 대통령과 제휴했던 몇몇 부족 지도자들, 그리고 예멘사회주의당(YSP)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인민공화국(PDRY)의 유산</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1967년, 영국 식민지 아덴(Aden)에서 혁명적 파고가 일어나, 영국 제국주의의 철수를 강요했다. 혁명이 일어나자 민족전선 내에서 부르주아지와 쁘띠 부르주아지 민주주의자들이 지주(地主)제도를 혁파하고 대중의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데 무능하다는 것이 곧 분명하게 드러났다. 민족전선의 가장 혁명적인 분파가 전면에 나서지 않을 수 없었고, 그들이 1969년에 권력을 장악했다.</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IMG height=83 src=\"http://www.junnodae.org/data/files/data1/1/bbs/2/201002/394_edu_0219155922688.jpg\" width=125 align=middle border=0></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그러나 그들이 봉건제와 지주제도를 혁파하려면, 그들은 더욱 전진하여 자본주의(또는 오히려 그 당시 남예멘에 존재했던 자본주의 요소들)를 제거해야만 했다. 1970년, 남예멘은 자신을 ‘맑스주의’ 국가라고 선언했다. 실제로 남예멘은 국유화된 경제에 기초한 군-경찰 독재였지만, 압도적인 다수, 특히 열성적인 국민의 지지를 받았다. 예멘 혁명가들은 쿠바와 중국 혁명, 그리고 스탈린주의 러시아 체제를 그들의 모델로 삼았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비록 남예멘이 세계의 최빈국의 하나였지만(지금도 마찬가지), 지주제도와 자본주의(또는 오히려 남예멘에 존재했던 자본주의 요소들)의 제거는 몇몇 진보를 낳았다. 국가의 기반시설이 크게 향상되었다. 무상교육이 실시되고, 완전고용이 이뤄졌다. 이 시기는 동독인들에게 독일민주공화국 시기의 복지제도와 계획경제의 기억과 같은 의미에서, 남예멘 대중의 의식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1980년대 남예멘의 경제는 (1980년대 후반 석유 발견이 다소 돕기는 했어도) 위기와 스태그네이션에 빠져들었다. 자원이 희소한 후진국에서 혁명의 고립과 결합된, 관료적 부실경영은 더 이상의 발전에 대해 절대적인 족쇄가 되었다. 농민들은 헐값을 받고서 농작물을 인도하기를 거부했다. 아덴(Aden)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농산물은 종종 감자, 빵, 양파뿐이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남예멘의 지도자들이 ‘통합’을 통해 북부와 타협하도록 이끈 것은 바로 이와 같은 곤경이었다. 실제로 이것은 스탈린주의자들의 완전한 파산을 보여주었다. 예멘인민공화국(PDRY)에서 실패한 것은 맑스주의나 사회주의가 아니라, 스탈린주의―즉 ‘1국 사회주의’와 노동자· 농민을 위한 민주주의가 결여된 관료적 경찰-군 통치였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경제</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의 석유 부문은 수출 소득의 90%, 정부 세입의 75%를 제공한다. 그러나 예멘의 석유 생산은 정점을 지났고, 1일 생산량이 2002년에 46만 배럴에서 2010년 예측치 26.8만 배럴로 하락했다. 총 원유 수출은 2008년에는 세계 유가의 급등을 반영하여 76억 달러였지만, 2009년의 숫자는 28억 달러에 가까울 것이다. 세계은행은 석유 판매로 얻은 국가 수입이 2017년에는 ‘제로’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통일 이후의 예멘의 IMF ‘개혁’은 대중에게 재앙인 것으로 드러났다. 완전고용 대신에 예멘은 지금 실업인구가 40%인 것으로 추정된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IMF 개혁조치 중에는 연료보조금의 75% 삭감, 대중의 생활수준에 대한 또다른 공격들뿐 아니라 대중의 구매력을 줄인 ‘일반 판매세’도 있다. 대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정부가 그 모든 공격을 다 단행할 수는 없다 해도, 생활수준은 항상적 공격 하에 놓여 있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예멘은 국토의 태반이 사막인 지형 때문에, 고립되어 있는 한, 그리고 대내적으로 봉건적 관계와 취약하고 자본집약도가 낮은 생산부문에 의해, 대외적으로 세계 제국주의 및 사우디아라비아나 걸프만 국가들 같은 지역의 반동적인 국가들에 의해 지배되는 한, 나라를 발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혁명적 출구</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SPAN> ‘남부 운동’은 남예멘에 깊이 뿌리내린 불만을 반영한다. 동시에, 부족의 지하드(성전聖戰) 전사들(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과 싸웠고, 나중에 ‘사회주의’ 예멘인민공화국과 싸웠던 전(前)-무자히딘<A href=\"#FOOTNOTE4\"><SUP>4)</SUP></A>)과 정부 세력 간의 싸움뿐 아니라, 북서부 후티족의 반란도, 예멘 정권이 좌익을 분쇄하기 위해 의존했던 바로 그 사회 세력들과 갈등관계에 돌입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그것은 지금의 봉건적-제국주의적 질서 하에서 경제가 완전히 곤경에 처했음을 말해주는, 체제 해체의 반영이다.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남부 운동’은 극히 이질적인 세력으로 구성돼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국민의 열성층이 더 나은 조건을 위해 싸우고 있는, 진정한 대중운동이다. 필요한 것은 지주제도와 자본주의를 타파하고 예멘 전체로 혁명을 확산하는 것이다. </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맑스주의자들은 예멘 정부와 지주들이 저지르는 억압과 도둑질에 맞서는 투쟁을 지지한다. 하지만 그 투쟁은 사회주의 노선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중앙 정부에 맞서는 투쟁은 경제의 재국유화 요구에 기초해야 하지만, 그것은 또한 북예멘,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및 지역의 나머지 나라들로 혁명을 확산하도록 해야 한다. 나라 전체, 즉 북부와 남부를 포괄하는 사회주의 남예멘은 그 지역 전체의 사회주의 혁명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끝></FONT></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BR></FONT></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 </FONT></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 align=justify><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원문 출처: </FONT></FONT><A href=\"http://www.marxist.com/class-struggles-south-yemen.htm\" target=_blank><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3><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color=purple>http://www.marxist.com/class-struggles-south-yemen.htm</FONT></FONT></A></P>
<P class=HStyle0 style=\"LINE-HEIGHT: 150%\"><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 </P>
<HR align=left width=300>
<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1>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1) </SPAN><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역자] 급진적 이슬람 분파. ‘성전(聖戰)’의 전사(戰士)들이라 불림. </FONT></P></A></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2><BR></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2>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2) </SPAN><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역자] 전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의 아랍 민족주의 사상을 이어받은 그룹.</FONT> </P></A></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2><BR></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3>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3) <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역자] 범아랍 민족주의와 아랍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1940년 시리아에서 결성되었다. </FONT></P></A></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size=2><BR></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A name=#FOOTNOTE4>
<P class=HStyle11 style=\"LINE-HEIGHT: 150%\">4)</SPAN><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 [역자] 성전(지하드)을 수행하는 이슬람 전사라는 뜻. 소련군에 맞선 아프가니스탄 전사들을 가리킴. </FONT><FONT style=\"LINE-HEIGHT: 150%\" face=굴림></FONT></P></A></FONT><BR></FON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